실수령액이란?
열심히 일한 당신, 연봉은 3천만원이라는데 왜 12개월로 나눈 값보다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현저히 적은 것일까?
그건 바로 회사에서 주는 급여에서 4대 보험료인 건강보험, 국민연금, 요양보험, 고용보험을 제외하고, 거기에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까지 제외하고서 근로자에게 지급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저 모든 것을 제외한 금액을 '실수령액'이라 부르고, 내 통장에 실제로 꽂히는 금액이 바로 실수령액인 것이다.
2022년도 4대보험
년도 | 구분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 | 고용보험 |
2022년 | 전체 | 9% | 6.99% | 12.27% | 0.08% |
근로자 | 4.5% | 3.495% |
우리가 받는 월급에서 4개 항목의 4대보험을 제외하고 실 급여를 지급받기 때문에 어느정도를 내는지 위 표를 통해 확인해보면 된다. 국민연금은 급여의 9%를 내야하지만 근로자가 실제 내는 금액은 4.5%로, 사업주인 회사와 근로자가 반반 부담이다. 건강보험료도 동일하게 반반씩. 그리고 나머지 장기요양보험료와 고용보험은 내가 낸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근로소득세 계산
4대보험은 저렇게 정해진 금액이니 계산이 쉽지만, 근로소득세가 조금 까다롭다.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할 때 근로소득세는 부양 가족의 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근로소득간이세액표에 따라 미리 원천징수를 하여 매달 급여를 지급하게 되고, 다음 해에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서 환급을 받거나, 더 납부해야하거나 둘 중 하나로 조정을 거치게 된다.
손택스나 홈택스 어플에 들어가면 월급여액과 공제대산 가족 수를 입력하여 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간편 조회해 볼 수 있으니 참고.
2022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자.
아래 표를 나열해 드리겠으니, 본인 연봉에 맞는 실수령액을 찾아보자.
참고로 엑셀파일로 정리하여 소수점 값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는 있다. 그리 큰 차이는 아니지만, 참고용으로만 사용하면 되겠다.
* 아래 계산은 부양가족수 1인 기준이며, 비과세 없음으로 계산하였습니다. (국민연금 상한액 : 235,800원)
연봉 2500만원~ 6000만원 실수령액.
연봉이 3500만원이라면 세전으로 계산했을 때는 월급여가 291만원이지만, 4대보험 공제와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원천징수를 한 최종 실수령액은 256만원이다.
실제 받는 실수령액으로 계산한 연봉은 3500만원->3075만원 정도가 되는 셈.
연봉 6100만원~1억 실수령액.
맨 아래 연봉 1억을 볼 수 있는데, 한달 실수령액은 651만원 정도이다.
연봉이 1억인데 한달에 받는 금액이 830만원이 아닌 650만원 선이라니, 연봉이 올라갈수록 그 차이가 더 또렷하게 느껴지는 듯하다.
연봉 1억1천~1억5천 실수령액.
1억이 넘어가는 연봉을 받으시는 분들은 누굴까 궁금하다. 2022년도 연봉 실수령액을 찾아보시는 분들 중 이에 해당하는 분들이 많다는 것이 놀랍다. 대기업의 임원급이시거나, 사업을 하시는 분들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래서 연봉 2억까지 올려본다.
연봉 1억6천~2억 실수령액.
월 천만원의 월급이 실제 통장에 꽂히기 위해서는 연봉이 무려 1억7천만원 정도는 되어야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러하다. 월 천만원을 벌기는 굉장히 어려운 것이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위 2022 연봉 실수령액 계산표는 부양가족수 1인(본인포함) 기준이며, 비과세액 1원 기준이다. 부양가족 수나 비과세 소득이 있다면 실수령액에서 차이가 나게 되므로 '아 이정도구나~'하고 위 표는 참고만 하면 되겠다.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조건, 이자 금리와 한도 정리 (0) | 2022.07.01 |
---|---|
실업급여 조건과 신청방법 수급기간 총정리 (0) | 2022.06.30 |
증여세 면제한도 상향되나. 부부, 자녀 등 증여세 계산법 (0) | 2022.06.27 |
퓨런티어 공모주 청약 일정 및 청약 신청 방법 (6)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