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란?
지방세는 개인이 나라에 정기적으로 납부하는 세금 중 하나다. 등록면허세, 자동차세, 주민세, 재산세가 있으며 보통 분기별로 납부를 하라고 우편이나 메일로 지로가 날아온다. 나 또한 얼마 전에 우편으로 지방세 지로가 와 있어 살펴보았는데, 이번엔 납부하라는 안내가 아닌 환급을 해 준다는 내용이었다. 어라? 웬 것일까? 하여 잘 읽어보니 지방세 환급 사유가 적혀있어서 알 수가 있었다.
위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지방세 중에서도 세목이 자동차세였고 과세물건은 얼마 전 처분한 내 개인 차량의 번호가 적혀있었다. 환급사유는 자동차세 과세후 말소라는 사유가 적혀있었다.
그러하다. 차를 말소시키기 전에 이미 정기분으로 자동차세를 납부했었기 때문에, 남은 기간에 대한 금액은 환급으로 돌려준 것이다.
지방세, 자동차세 환급 조회
혹시나 이러한 우편을 받지 못 하였다면, 위택스 홈페이지에 가서 나의 환급금에 대해 조회를 해 볼 수도 있다. 내가 받아야할 게 있는데 그냥 넘어가면 억울하니까 꼭 확인을 해 보는 것도 좋겠다.
지방세 환급 신청방법
1. 가장 쉬운 방법은 그냥 전화 ARS로 신청하는 방법이다. (1544-1414)
나도 저 방법을 이용했는데, 간단하게 보이는ARS를 이용해서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한 후 주민등록번호(납세자번호)를 입력하고 계좌번호를 입력해주면 신청이 끝나며, 환급도 며칠 내로 바로 받을 수 있어서 편리했다.
2. 인터넷신청 : 부산시 사이버지방세청, 위택스에서 환급신청을 할 수 있으며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 홈페이지에서 지방세환급금 조회를 하고 신청하면 된다.
그리고 계좌번호를 입력할 때는 꼭 본인 명의의 계좌로 해야한다는 사실 명심!
우편물에 이렇게 기부 안내와 함께 기부 신청서도 들어있었다. 물론 기부란 좋은 것이지만, 지극히 개인의 선택이기에 나의 환급금을 이번에는 내 통장으로 들어오도록 하였다. 만약 양도하고 싶은 분이 계시다면 이 신청서를 통해서 하면 될 것 같다.
지방세 고지서 스마트폰으로 받기
이런 고지서들이 우편으로 오면 사실 종이 낭비이기도 하고 쓰레기 생산이기도 하여, 요즘은 되도록 스마트폰으로 받는 것을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방세 고지서 또한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받아볼 수 있다고 안내서가 함께 동봉되어 왔다. 환경을 위해서 좋은 방법같아 소개해 본다.
정기분, 수시분, 연납분 등의 지방세를 받아볼 수 있으며, 대상은 개인 또는 개인사업자이다. 법인은 제외이니 참고.
이용방법은 앱에서 지방세 고지서 전자송달을 신청하고, 다음달부터 폰으로 받아보면 끝.
신청채널은 간편결제사앱인 네이버, 페이코, 카카오페이로도 가능하고, 금융사앱인 농협, 국민, 기업, 대구, 부산, 경남, 광주, 하나, 전북, 새마을금고, 신한, 케이뱅크, 기업 은행 앱으로 신청도 가능하다.
신용카드사앱인 삼성카드와 신한카드앱도 가능하다.
이용혜택
이렇게 내 폰으로 간단하게 지방세 고지서를 받겠다고 하면 이용해주는 대신 혜택을 준다.
전자송달 500원, 자동이체 500원의 혜택으로 총 1,000원을 혜택을 준다고 하니 이러한 세액공제도 소소하게 이용하며 푼돈이라도 기분좋게 아껴보는 것도 좋겠다.
마치며
오늘은 자동차를 처분하고 말소한 후, 내가 미리 낸 자동차세에 대해 환급을 받은 경험을 소개해 보았다. 아예 잊고 지내고 있었는데 이렇게 알아서 안내문이 오니 가만히 있어도 되어 편리했다. 물론 미리 알 수도 있으므로 아까 언급했던 두 사이트를 이용하여 조회와 신청을 해 보는 것도 좋겠다.